1987
루나 크로스백
"박명훈 작가는 작은 가방임에도 폭을 넉넉히 갖추고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내부에 가죽을 덧대는 방식으로 구조적 안정성을 더하며 루나 백의 디자인을 완성했습니다. 특히, 당시 실험 중이던 애플파이 매듭 패턴을 처음으로 적용한 작품이 루나 백이었으며, 패턴 사이사이의 섬세한 스티치 작업은 예상보다 복잡했지만 이를 통해 기술을 발전시켜 탬버린 백에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테스트용으로 제작된 루나 백은 양명주 작가에게 전달되었으며, 하나의 매듭과 스티치에도 장인의 손길과 애정이 담겨 있어 엠크라프트의 철학을 보여줍니다."
세대 : HINT GENERATION(1987-1992)
타입 : CROSS BAG
사용 : 양명주
기법 : 레이스 스티치, 무실 포켓, 떡볶이 단추 여밈, 가짜 스티치 디테일, 이중 각 잡기
• 무실 포켓(SEAMLESS POCKET)
• 떡볶이 단추 여밈(TOGGLE BUTTON CLOSURE)
• 가짜 스티치 디테일(FAUX STITCH DETAIL)
• 이중 각 잡기(DOUBLE LAYER STRUCTURE DETAIL)
작은 사이즈임에도 폭을 넉넉히 갖춘 가방을 만들고 싶었던 박명훈 작가는 디자인과 형태 유지 사이에서 끊임없이 고민했습니다. 작은 가방이 각을 살려 유지되도록, 뚜껑을 열어 보이는 가방의 안 쪽에 가죽을 덧대어 내부 구조에 힘을 주었고, 모양이 쉽게 흐트러지지 않는 기법을 개발해 루나 백의 모양을 완성했습니다.
당시 애플파이 매듭을 실험중이었던 그가 이 패턴을 적용한 첫 작품이 바로 이 루나 백입니다. 패턴 사이사이에 스티치를 넣는 것이 예상보다 복잡한 작업이었고, 루나 백을 통해 스티치의 계산을 테스트한 후에 탬버린 백에 완성된 기술을 적용하게 되었습니다.
박명훈 작가가 테스트 용으로 작업했던 루나 백 역시 양명주 작가의 손으로 전해졌습니다. 매듭 하나, 스티치 하나에도 수많은 시도와 섬세한이 담긴 이 가방에는 엠크라프트가 추구하는 장인의 손길과 애정이 담겨 있습니다.